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
.
배경이미지
.
배경이미지
.
배경이미지
.
배경이미지
.
배경이미지
중증질환을 책임지는 권역공공의료기관
최고의 의료인재양성, 도전적연구,책임있는 진료로 공공의료 실천과 국민건강증진을 선도한다.
배경이미지

충북대학교병원 공공부문

중증응급 이송・전원 및 진료 협력

사업참여대상
사업 참여병원으로 119를 타고 ICT-EMS(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-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, 정보 통신 기술 기반의 응급의료서비스)를 적용한 채 이송된 환자
사업내용
  • 응급의료체계에서 ICT 활용 과정
    • 중증 응급(감염병) 의심 환자 발생 → 119 신고 → 119구급대원 현장 도착 → 임상 정보 수집 →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임상 정보 입력(성별, 나이, 의식, 활력징후 외 추가정보) → 현장 중증도 분류 → 지역 응급의료자원 기반 이송 병원선정 → 이송 예정 병원의 사전정보공유 → 이송 예정 병원 의료진의 신속 대응 준비 → 신속한 응급처치 및 최종 치료제공
  • 중증응급환자의 분류 및 임상정보 입력체계 수립
  • 감염병의심환자, 중증 응급환자 선별 알고리즘 개발
  • ICT 활용 중증응급환자의 병원 전 임상정보 사전공유체계 확립
  • ICT 기반 소방본부 구급대원대상 이송환자 임상결과 환류체계마련
  • ICT 데이터 수집 및 관리 ICT 데이터 수집 및 관리에 대한 이미지로 자세한 내용은 하단에 있습니다.

    <권역 협력모델 개념도>

사업의 기대효과
  • ICT-EMS는 응급의료를 병원 응급실에서 병원 전단계로 확장한 것으로 응급환자 발생 시 환자를 적절한 의료 시설로 이송하고, 최종적인 응급치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사회 공공보건의료 서비스 향상에 이바지함.
  • 참여병원의 자원정보와 알고리즘의 환자분류를 토대로 재전원률을 줄이고 빠른 시간 안에 정확한 병원으로 안전하게 이송
  • 119구급대가 이송한 환자의 결과 환류를 통해 구급 질 향상
사업 성과
테이블 안내 – 구분, 부서/직위, 성명, 연락처, 홈페이지 정보 제공
사업 참여기관 확대 재이송률 ICT-EMS 이용 환자의 병원 전 이송 시간
병원 6개(2021년) ⇨ 20개(2024년) 1.05%(2023년 기준) 18.1분(2023년 기준)
소방 6개(2021년) ⇨ 12개(2024년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