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
.
배경이미지
.
배경이미지
.
배경이미지
.
배경이미지
.
배경이미지
중증질환을 책임지는 권역공공의료기관
최고의 의료인재양성, 도전적연구,책임있는 진료로 공공의료 실천과 국민건강증진을 선도한다.
배경이미지

충북대학교병원 공공부문

비사용증후군 재활치료 연계사업

비사용증후군은 급성 질환 및 수술로 인한 침상안정으로 전반적 신체기능이 저하되어 다양한 기능저하를 동반하게 되는데, 비사용증후군 진단 환자들의 진료·연계·협력 시스템 구축 및 활성화를 통해 조기 일상회복과 지역사회로의 복귀를 돕는 사업입니다

사업참여대상
  • 재활의학과를 통하여 비사용증후군 진단 받은 환자 중 지역사회 연계가 필요한 환자
  • 비사용증후군 질환 관련 교육이 필요한 지역사회 의료인 및 관계자
사업내용
  • 의료인, 환자/보호자 등 지역사회 교육을 통한 비사용증후군 인식 제고
  • 급성기병원의 자동 스크리닝 시스템을 통한 비사용증후군의 진단체계구축 및 활성화
  • 비사용증후군 대상자 맞춤형 퇴원 및 전원 계획 수립(필요 시 재활병원 연계)
  • 재활병원 연계 대상자 일정기간 기능평가 모니터링 및 사례 관리
사업의 기대효과
  • 지역사회의 비사용증후군 질환 인식 개선
  • EMR 자동 시스템 활성화를 통한 비사용증후군 대상자 발굴
  • 대상자 조기 맞춤형 집중재활치료를 통한 장애 최소화
  • 재활치료 통한 조기 사회 복귀 촉진으로 입원기간 단축 및 사회·경제적 부담 최소화
  • 진단·연계 대상자 사례관리 및 모니터링을 통한 질환 기초자료 수립
주요성과
주요성과 안내 – 퇴원연계, 자료개발, EMR Screening System, 질환교육 정보 제공
퇴원연계 자료개발 EMR Screening System 질환교육
  • 비사용증후군 진단 환자 지역사회 연계 및 기능평가 시행
  • 기관간의 질환 관련 조율 및 중재 (네트워크 활성화)
  • 포스터/리플렛 개발 및 보완
  • 기타 교육 자료 개발 (PPT 등)
  • HIS Screening System 구축 및 활성화
  • List Up monitoring System 구축 및 활성화
  • 원내 의료인 비사용증후군 교육
  • 외부기관 대상 교육 및 간담회
  • 환자/보호자 교육
퇴원연계 1 자료개발 1 EMR Screening System 1 질환교육 1

사업의 연계 절차는?

STEP 1
진료과 면담(재활의학과 진단)

담당의사와 상의 후 재활의학과 진료를 통해 비사용증후군 진단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.

STEP 2
담당부서 모니터링

진단 후 전담 간호사의 질환 교육과 함께 대상자의 맞춤형 면담을 시행합니다.

STEP 3
전원 계획 수립 및 전원

회복기 재활병원으로 전원 계획 수립 및 서류 발송 등 전원 관련 업무를 시행합니다.

STEP 4
퇴원 후 일정기간 관리

전원 후 일정기간 치료 경과에 대한 모니터링으로 사후 관리를 시행합니다.

비사용증후군은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한 질환입니다.
(발병 또는 수술 후 60일 이내)

재활 연계 사업 참여 신청은 어디에 하면 되나요?

병동간호사
담당 주치의
공공보건의료협력팀 재활담당 간호사

문의 : 043-269-7703